'편견의 바다' 건너 우리의 이웃으로 (2000.4.19. 동아일보 기사) > 언론속의 혜림원

본문 바로가기

언론속의 혜림원

home > 지식과 정보나눔 > 언론속의 혜림원
언론속의 혜림원

'편견의 바다' 건너 우리의 이웃으로 (2000.4.19. 동아일보 기사)

페이지 정보

작성 이선미 작성일2006-02-08 11:50 조회7,964회 댓글0건

본문

□ 2000. 4. 19 (수)/ 동아일보

 [장애인의 날]  ‘편견의 바다’건너 우리의 이웃으로...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사회적 편견 때문에 우리들로부터 격리됐던 장애인들이 하나둘 다시 우리 곁으로 돌아오고 있다.

인천시 서구 가좌동 풍림아파트 103동 1206호.  우리 이웃의 32평짜리 이 평범한 아파트에 20년 이상 ‘편견의 바다’ 저편에서 살아야 했던 장애인 4,5명이 지역사회 내의 일반주택에서 생활하면서 재활교육사의 최소한의 도움을 받으며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재활 프로그램.

 ▼중증 장애인도 지역생활을 ▼
지능지수 70 이하의 1급 정신지체장애인인 박홍식(38), 이창희(36), 이봉철(31), 전조필(36), 오희락(26)씨가 그 주인공들이다.

이들은 태어난 지 얼마 안돼서부터 인천시에서 배로 15분 떨어진 옹진군 북도면 장봉도의 장봉혜림재활원에서 다른 100여명의 장애인과 함께 집단적으로 생활을 해 왔다.

이들이 시설생활을 할 때에는 직원들이 다 해주던 일들, 예컨대 밥 짓고 장 보고 빨래한는 을일 등을 스스로 해내야 하지만 마냥 즐겁기만 하다.

아직 한 달도 안 돼 혼자서는 집을 찾을 엄두를 못 내고 버스와 지하철 타는 일도 낯설지만 평범한 사람들과 같은 공기를 마시고 산다는 것만큼 행복한 일이 없다.

이창희씨와 오희락씨는 벌써 이미용기구 제조업체에 취업해 아침 저녁으로 출퇴근생활을 시작했다. 

재활원에서는 남에게 음식을 권하는 법이 없던 이봉철씨는 과일과 찻잔을 나르며 “어서 드시라”고 손님 접대하는 솜씨가 제법이다.

같은동 1층에는 장봉혜림원에서 첫 그룹 홈 생활을 시작한 선배 5명이 있다.  95년부터 그룹 홈 생활을 시작한 이들은 모두 직장생활을 해 한 달에 40여 만원의 돈을 벌면서 결혼 등 미래에 대한 계획도 세워나가고 있다.

▼여자친구와 데이트▼
직장동료와 어울리고 여자친구와 데이트도 할 정도로 대인관계가 자연스러워졌고, 어휘력도 풍부해졌다.  특히 1주일에 사나흘 정도는 재활교사 없이 자신들끼리 생활해 나가는 데 아무런 무제를 못 느낄 정도가 됐다.

장봉혜림원의 이런 실험은 현재 여섯 가구, 25명으로 늘어났고 정부도 97년부터 그룹 홈 사업에 대해 연간 2200여 만원씩 지원에 나서 올해는 21가구로 국고지원을 확대했다.

장봉혜림원 임성만 원장(42)은 “현재 그룹 홈 형태의 장애인 공동생활 가정은 전국에 190여 곳 가량이지만 시설에 수용됐던 정신지체장애인들의 사회복귀 형태는 10여 곳 가량” 이라며 “그룹홈의 확대 설치 운영을 통해 장애인의 격리수용시설 자체를 줄여 가는 것이 그들의 사회복귀를 앞당기는 지름길”이라고 단언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1970년대부터 장애인을 격리 수용하는 조치가 장애인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일련의 판결을 바탕으로 수용시설을 최소화하고 이들을 지역사회로 복귀시키는 작업이 일반화됐다.

▼원하는 서비스의 선택▼
특히 선진 외국에서는 정부지원금이 시설이 아니라, 해당 장애인들에게 상품권(바우처)형태로 지급되어 이들 스스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연세대 최재성(사회복지학과)교수는 “그룹 홈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주택문제 해결이 필수”라며 “특별주택융자제를 도입하거나 임대주택 건립 시 전체 가구수의 1%가량을 장애인을 위한 영구임대가구로 의무 분양하는 법안 도입을 검토할 때”라고 제언했다.

-권재현 기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